Information Center 안전한 농산물, 세잎큐가 만들어갑니다.

수출농산물 안정성정보

수출농산물 안정성정보 상세보기
대만, 2024 생딸기 식품 조사... 약 90%에서 농약잔류 검출
작성일 2024/05/13 조회수 91
첨부파일
<샘플 수집>
2024년 2월, 타이페이(臺北)시, 신베이(新北)시, 타이중(臺中)시, 타이난(臺南)시, 가오슝(高雄)시의 케이크, 빵, 디저트 전문점에서 샘플 17건(일련번호 1번, 5번은 2/19, 2/26 총 두 차례 샘플을 수집했으며, 두 차례 수집한 샘플은 개별 샘플로 간주)을 구입했다.

<조사항목 및 측정방법>
- 조사 및 측정방법:
잔류농약 410개 항목: 2022년 8월 17일 위수식자(衛授食字) 제1111901537호 "식품 중 잔류농약 검사방법-다중잔류분석방법(5)"(MOHWP0055.05)
디티오카바메이트제(Dithiocarbamates): 2018년 11월 30일 위수식자(衛授食字) 제1071902338호 "식품 중 잔류농약 검사방법-살균제 디티오카바메이트제의 검사(2)"(MOHWP0054.04)
- 검사 기준: "농약잔류 허용량 표준" 중 딸기 및 소장과류 제한량 표준 참고

<조사 및 측정 결과>
"농약잔류 허용량 표준" 중 딸기 및 소장과류 제한량 표준을 참고하면, 현재 제한량 표준은 총 146개 항목이며, 샘플 17건 중 16건에서 농약잔류가 검출됐다. 총 43개 항목의 농약이 검출됐으며, 불검출인 2개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잔류량은 모두 허용 표준 이내에 있다. 5번 샘플의 1차 측정 결과에서 불검출에 해당하는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트리클로르폰(Trichlorfon)이 검출됐다.

2022년 진행한 국내외 신선 딸기(미세척)에 대한 농약잔류 조사, 측정 결과와 비교해 보면, 2022년 12건 샘플(대만산 6건, 일본산 5건, 한국산 1건)에서 농약잔류 40개 항목이 검출됐고, 그중 '불검출' 농약잔류는 5건(대만산 2건, 일본산 3건)이었으며, 이번 조사 대상 딸기 샘플 17건에서 43개 항목의 농약 잔류가 검출됐고, 그중 '불검출'은 2개 항목이었다. 잔류농약 최고 농도를 비교해 보면, 2024년에는 19개 항목의 농도가 높은 편이며, 2022년에는 9개 항목의 농도가 높은 편이었다. 검출률 비교를 통해 2024년 농약잔류 검출률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결론>
(소비자 권고사항)
- 딸기는 다양한 식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번 조사에서 생딸기 식품에서 농약잔류 문제가 있음이 확인됐다.
- 농업약물시험소가 발표한 정보에 따르면, 딸기를 세척하고 꼭지를 제거하면 농약잔류 제거율이 47~92%에 도달했다. 여러 번 세척 후 섭취하면 농약잔류 섭취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주무기관 권고사항)
- 이번에 검출된 농약 종류, 동일 농약의 잔류 최고농도 검출 수량 및 검출률이 모두 2022년 측정 데이터보다 높게 나타났다. "농약잔류 허용량 표준"에 의거하면 이번 샘플 17건 중 1건에서만 불검출 농약이 검출됐고 나머지 잔류량은 허용량 기준 이내이지만, 해당 식품이 즉석섭취식품임을 고려한다면 위해지수가 우려스럽다.
- 이번에 사용된 검사방법의 적용 범위는 채과류, 곡류, 건두류, 다류, 향신식물 및 기타 초본식물 등에 국한되며, 조사 대상인 딸기 식품 중 딸기를 기질로 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주무기관은 적용 기질 범위를 확충하여 이러한 제품에 대한 농약잔류 검사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식약처 식품안전정보원 원문보기: https://db.foodinfo.or.kr/email/0000018F60F174C3ac1b0069675febc3.html
대만 원문보기: https://www.consumers.org.tw/product-detail-3653076.html

출처: 식약처 식품안전정보원

※ 링크를 통해 원문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총게시물 : 1246건

게시물 검색
수출농산물 안전성정보 게시판목록
번호 구분 제목 첨부 등록일 조회
1246 미국, Cyflumetofen의 최대 잔류허용기준 개정 2024-05-13 84
1245 대만, 2024 생딸기 식품 조사... 약 90%에서 농약잔류 ... 2024-05-13 90
1244 미국, Flonicamid의 최대 잔류허용기준 개정 2024-04-29 130
1243 중국, 식품 중 농약 최대잔류허용기준 개정 제안 2024-04-26 392
1242 영국, Imazethapyr의 최대 잔류허용기준 설정 2024-04-04 1252
1241 대만, 식품 중 농약 최대 잔류허용기준 개정 2024-04-04 1245
1240 뉴질랜드, 식품공전 개정 제안 2024-04-03 1307
1239 유럽연합, Acibenzolar-S-methyl의 승인 취소 제... 2024-03-11 1221
1238 남아공, 식품 중 농약 최대 잔류허용기준 개정 2024-03-07 392
1237 호주, 농약 최대 잔류허용기준 개정 제안 첨부파일 2024-03-06 391

온라인민원신청 부적합등록 안전성조사결과개별확인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