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Q 뉴스 상세보기

농식품 안전사고 선제적 대응을 위한 신종유해물질 관리체계 마련

조회수 : 125 2019-05-13

신종유해물질(A형간염바이러스) 분석법 정립 및 모니터링 - 농산물(과실류, 채소류, 버섯류 등) 총 100건: 불검출 신종유해물질(니코틴) 분석법 정립 및 모니터링 - 농산물(버섯류) 총 103건: 국내산 생버섯(4/25건), 국내산 건조버섯(13/39건), 국외 건조버섯(20/35건), 국외 건조그물버섯(4/4건) 검출되었으나 모두 기준 이내로 적합 - 대상시료에 대한 매트릭스 고려한 전처리방법 확립 - HPLC, LC/MS/MS, GC/MS를 이용한 분석법 정립 - 선택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회수율, 측정불확도 등 유효성 검증 - 분석결과를 이용한 노출량 산출 및 위해평가: 버섯종류별 섭취량 적용 시 0.03% 수준으로 매우 안전함 신종유해물질 위해정보 근거 및 정보분석 카테고리 확립 - 국가식품안전정보원, EU RASFF, US FDA, 일본, 중국, 대만, 독일, 해외 주요국가 사이트 등 위해정보 출처 확립 - 정보일자, 정보출처, 농산물(대분류/소분류), 원산지, 위해성 분명(대분류/소분류), 검출량 등 위해정보 카테고리 확립 국내외 위해정보 수집 및 평가 - 국내외 위해정보의 수집 및 다빈도 위해정보에 대한 우선순위 설정
첨부파일 아이콘

8. 농식품 안전사고 선제적 대응을 위한 신종유해물질 관리체계 마련.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