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 우리는 민원담당 입니다.
P. 117

주름살이  생겼다.  그래도  맑고  경쾌한  톤으로  말을  이어갔다.
                 참고로  나는  민원인이  ‘농업경영체  등록’에  관해  문의하면,  꼭

             몇  가지를  먼저  확인한다.  주민등록상의  주소지가  어디인지.  농사
             짓는  땅의  소유자는  누구인지.  재배  작물과  면적은  어떻게  되는지가

             그것이다.  등록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그는  사는  곳은  대전이고,  본인  소유의  농지  2천  ㎡에  과일

             나무를  심었다고  했다.  그럼  등록이  가능했다.  그에게  등록할  때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안내했다.  ‘경작사실확인서’와  ‘영농자재구매

             영수증’이  필요하다고.  그런데  화가  난  말투로  여전히  반말로
             반문한다.

                 “경작사실확인서는  무엇이고,  어디서  받아야  하는데?”
               나도  똑같이  화를  내고  싶었지만  그럴  순  없는  일이다.  다시  친절

             하게  말씀  드렸다.  ‘농지에  실제  농사짓는  대로  경작사실확인서를
             작성해서  이ㆍ통장이나  이웃  주민  2명에게  확인  서명을  받으시면

             돼요.’라고  했다.  이  말이  끝나자  큰소리를  친다.  ‘그  동네  이장도,
             사람들도  모르는데,  어떻게  받어.’라고  한다.

                 경영체를  등록하는  데  필수  서류라고  조심스럽게  안내를  했다.

             그러자  그는  ‘난  못  받아온다.  네가  직접  나와서  농사짓는  거
             확인하고,  등록해주면  되는  것  아니냐.’고  한다.  한참  동안  ‘못
             받아온다.’라는  똑같은  말과  폭언을  반복했다.  내  입은  바짝바짝

             마르고,  숨이  멎는  듯  가슴이  답답했다.  할  수  있는  건  ‘계속

             폭언하시면  녹음  들어갑니다.’라는  말밖에  없었다.
                 그의  목소리가  크고,  드문드문  육두문자를  써서  듣기가  힘들었



                                                               수기모음•107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